불교상식/교리문답
벼랑 끝에 선 고려 태조 왕건을 살린 은신처, 비슬산 은적사

불교신앙의 대상 "삼보" 의 구체적 의미?

관리자 | 2006.05.15 10:44 | 조회 1241
삼보란? 불보(佛寶)·법보(法寶)·승보(僧寶)를 삼보(三寶)라고 한다.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것은 보배이기 때문에 불·법 ·승을 가리켜 세 가지 보배라고 한다. 삼보는 일체중생에게 귀의(歸依)의 대상이며 예배의 대상이며 공양의 대상이다. 삼보는 현전삼보·주지삼보·일체삼보가 있다. 현전삼보(現前三寶) 부처님 당대의 석존과, 석존의 가르침과, 석존의 제자(비구, 비구니) 주지삼보(住持三寶) 블멸 후의 각 시대를 통해 그 시대의 불교에서 불리는 삼보, 즉 여러 가지 재료(木·石·金◇·紙)로 만들어진 불상, 불화로서 불자에게 귀의 대상이 되는 것이 불보(佛寶), 나뭇잎이나 종이에 쓰여진 일체의 팔만대장경인 불교성전이 법보(法寶), 머리를 깎고 가사를 입은(方袍圓頂) 비구, 비구니의 출가사문이 승보(僧寶)이다. 일체삼보(一切三寶) 동체(同體) 삼보라고도 하며, 불·법·승이 따로 따로 떨어진 별개의 것이 아니라 일체의 것이라는 뜻이다. 즉 법은 부처님에 의해 발견되고 설해짐으로써 비로소 부처님의 교법이 되는 것이므로 법은 부처님에 의존하고, 부처님은 법을 발견하고, 법을 깨닫고, 법을 터득함으로써 불타가 된 것이므로 법을 떠나서 부처님이 존재할 수 없는 고로, 법을 본질로 삼고 있다. 출가사문은 부처님을 통해서 설해진 법을 수행하고 부처님을 대신하여 부처님의 대리자로서 민중에게 법을 설하는 자이기 때문에 부처님과 법을 떠나서는 있을 수 없는 것이다. ▩ 불보(佛寶) 부처님은 불타(佛陀 : Buddha)를 말하며, 깨친 사람(覺者)이라는 뜻이다. 부처님은 성문의 아라한이나 벽지불(隻支佛, 獨覺佛)과는 달리 스스로 깨침을 얻는 동시에 다른 사람들을 구제하여 깨치게 하고 깨침의 행위가 완전·원만하다. 이러한 불타는 역사상의 석존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나, 불보에는 석존뿐만 아니라 과거의 모든 부처님과, 현재의 시방 모든 불국토의 부처님, 미래의 부처님까지를 포함한다. 부처님은 삼십이상(三十二相) 팔십종호(八十種好)의 상호와 상·락·아·정 (常·樂·我·淨)의 덕(德)을 갖추었다. 법신(法身) ·보신(報身)·화신(化身)의 삼신설(三身說)이 있다. 삼신설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법신·보신·화신의 설과 자성신(自性身)·수용신(受用身)· 변화신(變化身) 등의 설이 있으나 그 중 가장 보편적으로 설해지는 것은 역시 법신·보신·화신의 삼신설이다. ① 법신(法身) 법신(法身)은 부처님의 설법으로서 진리를 인격화한, 영원히 존재하는 진리의 불신(佛身)을 말한다. 중생의 감각과 이성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보이지 않는 몸으로 우주 및 현실과 모든 것의 근본바탕이 되며 그것을 질서 있고 조화롭게 만드는 주체이다. 즉 맑고, 밝고, 바른 마음이며 지혜롭고 자비로운 본래부터 스스로 존재한 이상적인 불신을 뜻한다. ② 보신(報身) 보신은 보살로서의 바라밀과 수행과 서원이 완성되어 그 보(報)의 과(果)로서 얻어진 완전하고 원만한 이상적인 불신을 말한다. 보이지 않는 법신이 형태를 취하여 나타난 몸으로서, 맑고, 밝고, 바른 마음이 원인이 되어 그 마음에 알맞은 형태를 취한 몸이다. 또는 수용신(受用身)이라고도 하는데 스스로 증득한 법열(法悅)을 혼자만 수용(受用)하는 자수용신(自受用身)과 다른 사람도 같이 이 법열을 받을 수 있도록 몸을 나타내어 중생을 제도하는 타수용신(他受用身)이 있다. ③ 화신(化身) 응신(應身) 또는 응화신(應化身)이라고도 하는데, 교화의 대상에 따라 일시적으로 있는 모습을 화현으로 나타난 불신을 말한다. 중생들의 마음가짐에 맞추어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며 그 중생들을 구제하는 부처님의 몸을 말하는 것이다. 특정한 시대와 지역과 상대에 따라, 그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출현하는 부처님이다. ▩ 법보 (法寶) 부처님에 의해 설해진 교법(敎法)을 뜻한다. 그것은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현실의 불안이나 공포에서 벗어나 무고안온(無苦安穩)의 이상경에 도달케 하는 가르침이고, 사회 전체를 평화롭고 행복한 세계로 인도하는 가르침이다. 이러한 교법은 현교(顯敎)와 밀교(密敎)로 나누기도 하고, 구분교(九分敎)와 십이분교(十二分敎)로 나누기도 하며, 경(經)·율(律)·논(論)의 삼장(三藏)으로 나누기도 한다. 삼장(Tripitaka)은 넓은 뜻의 수다라장(修多羅藏)이라고 하며 흔히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라고도 부른다. 불교의 모든 가르침을 부처님의 말씀인 경(經), 부처님이 제정하신 교단의 행동규범인 율(律), 경에 대한 주석서인 논(論)의 세 가지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장(藏)은 담겨져 있다, 감추어져 있다, 포함되어 있다는 뜻으로 부처님의 모든 교법이 담겨져 있다는 의미이다. 부처님에 의해 설해진 교법은 불멸 후 여러 부파(部派)에 의해 여러 가지로 정리 분류되었으나 대승불교 흥기 이후 거의 보편적으로 경장(經藏)·율장(律藏)· 논장(論藏)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석존 당시에 실제로 존재한 교법은 법과 율이었다. 법(Dharma)은 부처님 설법으로서의 경전을 가리키며 이것은 후대에 경장으로 정리되었으며, 율은 불교 출가 교단의 일상생활의 규칙을 모은 것이며, 이 규정도 모두 부처님에 의해 제정된 것이므로 넓은 뜻의 불설에 속한다. 이것은 뒤에 율장으로 정리되었다. 이 삼정의 분류법은 형식적인 분류법이라고는 할 수 있으나 내용적(사상·학설·교리내용)인 정리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① 경장(經藏 : Sutra-pitaka) 수다라장이라 음역한다. 부처님이 설하신 모든 교법과 그것을 기록한 성전으로 불교의 ‘經’은 구체적으로 계경(契經)이라고 하는데 이치에 계합하고 능히 모든 성문·연각승에 계합하는 경이라는 뜻이다. 또 부처님께서 설한 도리가 일관되어 흐트러지지 않고 불변하기 때문에 씨실(線)이라는 의미가 있다. 이러한 경을 설한 때와 내용에 따라 오시팔교(五時八敎)로 나누기도 한다. ② 율장(律藏 : Vinaya-pitaka) 비니장(毘尼藏)이라 음역한다. 부처님께서 제자들의 수행을 위해 마련한 모든 계율을 총칭해서 율이라고 한다. 계율은 부처님께서 살아 계셨을 때 제자들의 근기와 경우에 따라서 비행을 경계한 것을 불멸 후 경전 결집 때 우바리 존자가 염송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모은 것이다. 모든 계율이 여기에 포함되며 소승계· 대승계 등 많은 구분이 생겼다. ③ 논장(論藏 : Abhidharma-pitaka) 아비담장(阿毘曇藏)이라 음역한다. 논은 번역하여 무비법(無比法)이라고 하는데 경의 뜻을 분별 해석하여 견줄 수 없는 지혜를 일어나게 한다는 뜻이다. 경과 율은 부처님께서 친히 설하고 제정하신 것이나, 논(論)은 불멸 후 논사들에 의해 저술된 것이다. 유명한 논사(論師)로는 무착(無着)·세친(世親)·마명(馬鳴)· 용수(龍樹) 등의 대사(大士, 대보살)가 있다. ▩ 승보 (僧寶) 승(Sanggha)은 승가·중(衆)으로 음역되며, 집단을 뜻하고, 화합중(和合衆)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승은 부처님을 대신하여 민중에게 불교의 이론과 실천을 전하고 민중을 지도, 교화하는 출가 단체를 말하는데, 출가자의 단체는 구족계를 받은 비구 승가(비구 250계)와 비구니 승가(비구니 348계)를 가리키며 4인 이상의 모임을 뜻한다. 원시경전(아함경)에 삼보의 하나로서 나타나 있는 승보는 “부처님의 제자 승가는 묘행을 갖추고, 실지행(實智行, 진리를 달관하는 진실한 지혜의 행위)을 갖추고,, 여리행(如理行, 절대적이고 둘이 아닌 진여의 이치를 말하여 중생을 구제하는 수행자의 행위)을 갖추고, 정행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제자 승가는 세상으로부터 공양받아야 하고 공경받아야 하며 보시받아야 하고 합장 숭배받아야 할 무상의 복전이다.”라고 설명하시었다
[알림] 본 자료는 대전 계족산 용화사에서 제공된 자료입니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